안녕하세요.
겨울은 차를 마시기 좋은 계절이죠. 저는 그중에서도 홍차를 제일 좋아하는데요, 우리가 홍차를 구매하려고 하면 알파벳으로 등급이 표기 되어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무엇의 약자일까요? 이번에는 홍차의 등급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홍차는 다양한 요소에 따라 등급이 분류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등급 분류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하지만 등급은 표준화되어 있지 않으며, 차의 품질과 맛을 평가하는 방법은 개인적인 취향과 선호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1. 고급 등급 분류:
- 특급(Top Grade) 또는 정품(Premium): 가장 뛰어난 품질의 차를 말하며, 크고 단단한 잎을 가지고 있습니다. 잎이 완벽하게 개발되어 있고, 특별한 향과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 1등급(First Grade) 또는 초고급(Supreme): 매우 좋은 품질의 차로, 특급에 준하는 등급입니다. 잎의 크기, 완전한 개발, 일관된 색상 등이 특징입니다.
- 2등급(Second Grade) 또는 고급(Superior): 품질은 좋지만, 특급이나 1등급에 비해 약간 떨어지는 등급입니다. 일부 작은 잎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2. 찻잎의 모양에 따른 등급 분류:
전통적인 루즈 리프(Tea Leaves)는 찻잎이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로 제공되는 등급입니다. 잎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하위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하위 분류는 팁(가지 끝의 새싹)의 이용 정도에 따라 골든 팁(Golden Tip), 실버 팁(Silver Tip), 골든 실버(Golden Silver), 플라워리 실버(Flowery Silver)의 4등급으로 나누어집니다. 혹은 찻잎의 크기에 따라서 FOP(Flowery Orange Pekoe), OP(Orange Pekoe), P(Pekoe), PS(Pekoe souchong), S(Souchong)로 구분되기도 합니다.
- FOP(Flowery Orange Pekoe):부드러운 새싹이 함유되어 있고, 싹과 바로 아래 있는 두 개의 잎으로 만들어진 차를 나타냅니다. 스리랑카에서는 제일 좋은 등급의 홍차이며, 이 상태에서 시간이 지나 싹이 잎으로 퍼질 무렵 채엽하면 바로 아래 등급인 OP 등급이 됩니다.
-OP(Orange Pekoe): 찻잎을 분쇄하지 않고 만들어진 홍차로 FOP보다 크고 길며 뾰족한 찻잎을 포함합니다. 일반적으로 FOP보다 수확시기가 약간 늦습니다. 팁(가지 끝의 새싹)은 거의 포함되지 않습니다.
- P(Pekoe): OP보다 더 드센 잎으로 가공되는 차입니다. 줄기 끝에서 세 번째 잎을 의미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 PS(Pekoe souchong): 줄기 끝에서 네 번째 잎을 의미합니다.
- S(Souchong): 새싹 중 가장 큰 잎으로 랍상소우총으로 유명합니다.
3. 찻잎의 가공 상태에 따른 분류:
- B (Broken): 잘게 부서진 찻잎을 말합니다. 이 등급은 찻잎의 제조 과정에서 부서질 때 생겨납니다. 이 작은 입자크기는 부서지기 전의 온전한 찻잎보다 더 강한 맛으로 우려집니다.
- F(Fanning): 찻잎을 분류하기 위해 사용했던 팬(fan)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분류 기계가 도입되기 전, 커다란 선풍기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에 찻잎을 던져 분류했는데요. 날아갈 만큼 충분히 가벼운 찻잎이 이 패닝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좋은 품질의 티백에서 사용됩니다.
- D(Dust): 이름처럼 미세한 가루처럼 생긴 찻잎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티백에서 사용됩니다.
이렇게 세 가지 분류 방법을 통해 홍차의 등급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등급만으로 전체 차의 특성을 완전하게 이해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러한 용어로는 찻잎의 외관과 크기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을 뿐입니다. 차마다 수확 시기, 발효 정도, 향, 맛, 잎의 퀄리티 등이 다르기 때문에 별도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홍차를 선택할 때는 등급뿐만 아니라 선호하는 풍미와 향, 차의 원산지, 제조 방식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차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께 시음해 보거나 제품 설명을 참고하여 자신에게 맞는 홍차를 찾아보세요.
'차( T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차, 자세하게 들여다보기 (0) | 2023.12.16 |
---|---|
영국의 애프터눈티(Afternoon Tea)문화 (2) | 2023.12.15 |
홍차(Balck Tea)의 성분 알아보기 (2) | 2023.12.15 |
홍차(Black Tea)의 종류 (0) | 2023.11.29 |
차(Tea)의 가공 방법에 따른 분류 (0) | 2023.11.28 |